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네트워크
- kubernetes
- AI스쿨
- AWS
- 프로토콜
- EC2
- SQS
- 스위치
- 침입탐지시스템
- IPS
- english
- ELB
- docker
- Queue
- ICMP
- 보안관제
- 라우터
- Telnet
- 침입차단시스템
- tcp
- IDS
- k8s
- 7계층
- 브리지
- ssh
- 3way handshaking
- Storage Gateway
- SMTP
- Protocol
- C#
- Today
- Total
Devsecops
etcd 본문
etcd
- master 시스템에 있는 저장소
- 현재 k8s의 상태 정보 저
- kublet 내 CAdvisor로 부터 받아온 정보를 저장
- key - value 형태로 저장
- 어떤 명령이 들어 오고 작업을 할 때 그 과정을 저장한다
- 현재 운영되고있는 k8s에 대한 모든 운영 정보가 저장 되어있다
- 기본적으로 Memory에 저장
- /var/lib/etcd 파일에 따로 하나 더 DB형태로 보관
- static pod 형태로 동작(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의 kubelet 데몬에 의해 관리되는 pod)
etcd가 손상될경우
- 모든 서비스를 할 수 없다.
-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고가용성을 유지해야 한다
고가용성 유지법
- 동일한 etcd를 여러가 가지고 있어야 함
- 기본 3개 이상 유지
- Master node 를 3개 이상 유지 한다는 뜻
- 이와같은 특징으로 분산된 key-value 형태의 데이터 스토리지
etcd backup
- 별도의 파일을 snapshot해서 보관
- snapshot 파일을 restore를 통해서 복원
복원 과정
- snapshot 파일을 별도의 DB파일로 복원
- etcd pod의 구성정보를 복원된 DB위치로 수정
관련 명령어
- kubectl get pod -n kube-system (Name Space 에서 동작되고 있는 pod를 보여줘)
kube-system : k8s를 실제로 동작시키는, 동작되는데 필요한 pod, 볼륨 등이 운영되고 있는 Name Space
- etcd --version // etcdctl version
etcd 버전 정보 출력
- etcdctl snapshot save < snapshot filen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