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위치
- IDS
- EC2
- ssh
- Storage Gateway
- Telnet
- AWS
- IPS
- 프로토콜
- AI스쿨
- 침입탐지시스템
- 네트워크
- ICMP
- kubernetes
- k8s
- SQS
- 라우터
- ELB
- 브리지
- docker
- 침입차단시스템
- Queue
- 보안관제
- english
- 3way handshaking
- C#
- tcp
- Protocol
- 7계층
- SMTP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4)
Devsecops

목차 Physical Layer(물리 계층, L1) 리피터 허브 케이블 Data Link Layer(데이터 링크 계층, L2) L2 스위치 브릿지 Network Layer(네트워크 계층, L3) 라우터 Routing L3 스위치 Transport Layer(전송 계층,L4) L4 스위치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L7) L7 스위치

연결 종료 과정(4 Way handshaking) 연결이 종료된다라는것은 Client와 Server 모두 종료가 되었을 때를 말한다, 비정상적으로 한쪽만 종료 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비정상적인 종료라 간주하고 양쪽 다 종료 되겠금 TCP는 조정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ient는 Sever와 연결 설정 종료, FIN+ACK 패킷 전송 연결 요청에 대한 확인 응답ACK전송 일단 FIN은 받았다 하지만 아직 보내야할 데이터도 있고 안정적인 종료를 위해서 조금만 기다려 라는 요청 해당 Application에서 TCP 연결 종료 할 때까지 대기 후 FIN+ACK 패킷 전송 모두 완료 되었으니 종료 하자 마지막 ACK 보낸 후 2MSL시간동안 대기 2MSL 시간 동안 대기 : 마지막 ACK 응답이 안전하게 상..

TCP 프로토콜 연결지향 프로토콜 신뢰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로토콜,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함 물리적으로 전용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가상의 연결 통로를 설정해서 통신하는 방식 논리적인 연결 통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아 데이터 전송순서를 보장한다 스트림 기반 전송방식이용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흐름제어 : 상대방이 받을 수 있을 만큼 데이터 전송 오류제어 : 데이터 오류나 누락없이 안전한 전송 보장 혼잡제어 : 네트워크 혼잡정도에 따라 송신자가 데이터 전송 량 제어 구조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번호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번호 Sequence Number : 송신데이터 번호 Acknowledgment Number : 상대..

OSI 7 Layer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지정한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연결 모델 기능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어 어떤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의 큰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계층적으로 나누어진 여러 프로토콜을 조합하여 그 목적을 수행하는 방식. 각 계층별로 표준화를 함으로써 상, 하위 계층 간에 인터페이스만 충족시켜주면 다양한 제조사들에 의한 독자적인 계층별 프로토콜의 구현 및 발전을 이룬다 기본 용어 정리 노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호스트 : 노드 중 컴퓨터 노드 종단 노드 : 통신의 양 끝단에 해당하는 노드 중계 노드 : 종단 노드 간에 패킷 중계를 해주는 노드 링크 : 노드 사이의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통신경로 Physical Layer..